바로가기 및 건너띄기 링크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 부문

협력기획센터

센터장
박동철(안보융합원 SC-전략연구소)
설립년도
2021년

軍ㆍ경찰 및 기타 안보관련 기관 대상, 비학위 교육과정을 통한 과학기술 인재 육성과 교류 및 협력 확대를 위한 소통ㆍ협력 플랫폼 제공

주요 연구(사업)

軍 및 경찰 관리자 ‘첨단 과학기술 특별 연수 프로그램’ 운영(연 15 ~ 16회)

  • 국방부, 육ㆍ해ㆍ공군 주요 간부 대상 ‘국방 과학기술 연수과정’
  • 경찰 주요 직위자 대상 ‘과학치안 역량 강화 연수과정’

KAIST 사이버안보 최고위 정책과정(K-CSPP) 운영(연 2회, 각 4개월 간)

  • 국정원과 협업, 軍 및 경찰, 국정원, 공공기관, 기업 임원, 언론ㆍ법조인 등

안보ㆍ국방 과학기술 미래전략 포럼(聞智포럼) 운영 (분기 1회)

  • 총장 주관, 국방부ㆍ합참, 및 육ㆍ해ㆍ공군, 방사청, ADD, 국정원, 경찰청 등 참여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문지캠퍼스 학부동 F704, F714
  • 대표 연락처 042) 350-7005, 7019

사이버안보연구소

센터장
김창익(안보과학기술대학원)
설립년도
2020년

고도화된 사이버안보 위협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 대응 기관의 종합 역량 강화
인공지능(AI)·양자 등 첨단 안보 기술 개발
사이버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강화

주요 연구(사업)

미래 안보 기술 연구

  • AI 자동화 공격, 랜섬웨어, 양자컴퓨팅 기반 위협 등 진화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응 전략 수립
  • 디지털 인프라 확대와 법제도 변화에 따른 복합 위협 요소 분석
  • 중요 인프라 보호를 위한 예측 및 실시간 대응 역량 강화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

  • 기존의 이론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실제 사이버 공격 사례를 기반으로 한 실습형 교육 프로그램 운영
  • 실전 대응 역량을 갖춘 사이버 보안 전문 인재 양성

키워드 # 전담 연구조직 설치 및 운영 # 사이버 분야 공동연구 수행 # 과학기술ㆍ국가안보 상호 이해를 위한 정기 교류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문지캠퍼스 학부동 F718, F719
  • 대표 메일 연구소장 changick@kaist.ac.kr     행정원 leeyl219@kaist.ac.kr
  • 대표 연락처 연구소장 042-350-7421/7014      행정원 042-350-7017

광역방어특화연구센터

센터장
방효충(항공우주공학과)
설립년도
2020년

미래 방어 체계 개발에 필요한 유도제어 및 관련 기술

세부 연구 분야

상층방어 유도탄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

고고도 위협에 대한 대응능력 확보

상승단계 탄도탄 요격 체계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확보

세계 수준의 공중 억지력을 위한 장거리 공대공 정밀유도무기 기초 기술 조기 확보

  • 대표 메일 hcbang@kaist.ac.kr
  • 대표 연락처 042-350-3722

미래 국방 인공지능 특화연구센터

센터장
노용만(전기및전자공학부)
설립년도
2020년

· 미래 국방의 핵심인 인공지능 분야의 고급 전문인력 교육 및 양성
· 미래 인공지능 기술 응용을 위한 기초기술 연구
- 국방 특화 방법, 국방 인공지능 강인성
· 군사적 설명이 가능한 국방 인공지능 기술 연구
- 군사전문가가 이해하고 상호작용하는“설명 가능한 국방 인공지능 기술”

세부 연구 분야

국방 인공지능연구의 성과를 바탕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선도하는 미래 혁신 인공지능 응용 기술센터로 발전

군사적 설명이 가능한 인공지능 이론 연구

다종 국방데이터 융합학습 연구

열악한 환경의 극소량 국방데이터 기반 학습 연구

탐지 군사적 설명 연동 방책 추천 연구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본원 N1 420호
  • 대표 메일 kaistcarai@gmail.com
  • 대표연락처 042-350-8351

을지연구소

센터장
정재원(을지연구소)
설립년도
2019년

KAIST 첨단과학기술을 국방에 적용하기 위한 국방 과학기술 전문 연구소
* 국방 기초/원천 기술연구, 국방 과학기술 인력양성, 軍ㆍ産ㆍ學ㆍ硏 국방오픈 플랫폼

조직 및 구성

연구소장, KAIST 전임교수 및 연구원 등 7개 연구실 약 60여 명 참여

세부 연구 분야

국방 기초/원천 기술연구 : 미래 국방력 강화를 위한 핵심기술 개발의 선도적 역할

  • 핵심기술 발굴 및 기획 국방전략기술(AI, 우주 등)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기획
  • 정부 주관 국방기술 연구과제 수행 핵심기술, 미래도전국방기술 등 정부 주관 과제 참여
  • 산학협력 연구과제 수행 기업으로부터 위탁받아 과제 참여

국방 과학기술 인력양성 : 국방분야 과학기술 전문가 양성을 위한 차별화된 교육 프로그램 운영

  • 군 간부 정책연수과정 운영 KAIST 연구실에 6개월간 배정되어 과학기술 연구
  • 군 특화 AI 교육과정 운영 국방부 주관 AI 인재 양성사업으로 2024년부터 운영 중

    * 3개(AI리더십, AI·SW프로젝트, 정책·제도수립) 교육과정 및 온라인 교육 플랫폼 운영(https://k-dap.kr)

  • 산학협동 공개강좌 운영 軍∙官∙産∙學∙硏 대상 첨단과학기술 및 방위산업 단기 교육과정 운영 중

    * 육군4.0 핵심인재 연수과정, 국방사업관리사 자격증 과정, KAIST-방사청 국방 R&D 아카데미, 기업체 방위산업 과정(HDEP), 방위산업수출전문가 과정(DEDP) 등

民ㆍ官ㆍ軍ㆍ産ㆍ學ㆍ硏 국방오픈 플랫폼 : 국방 생태계 내 모든 주체 간 협력을 촉진하는 통합 플랫폼 역할을 수행

군 기관 상주 상시 소통체계 구축

  •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육군미래혁신연구센터
  • 해군협력기획팀 해군협력기획팀
  • 공군협력기획팀 공군협력기획팀
  • 해병대협력기획팀 해병대협력기획팀
  • 육군 Open Data LAB 육군 Open Data LAB
  • 육군 AI협력사무소 육군 AI협력사무소

방산혁신클러스터 대전사업단 상주 지역별 방위산업 발전과 상생협력 생태계 구축

  • 대전광역시 대전광역시
  • 국방기술진흥연구소 국방기술진흥연구소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문지캠퍼스 학부동 F732
  • 홈페이지 https://erc.kaist.ac.kr
  • 대표 메일 jingeol.park@kaist.ac.kr
  • 대표 연락처 042-350-7235~6

풍산-KAIST 미래기술연구센터

센터장
권오정 (산업 및 시스템공학과)
설립년도
2014년

풍산의 제조기술과 Know-How, KAIST의 우수 인력을 센터에서 융합하여 새로운 사업을 발굴하고 국가 안보와 경제발전에 기여

세부 연구 분야

탄약의 장사정화 연구

탄약의 정밀도 향상 연구

탄약의 위력증대 연구

드론의 탄약화 연구

주요성과(프로젝트) : 47건 프로젝트 수행

  • 차세대 공중 통신중계 및 정찰시스템 연구개발
  • 드론화지능자탄 비행제어장치 및 비행조종부설계
  • 관측자탄 자동비행 시스템 및 정보통제시스템 개발
  • 활공 유도포탄 비행역학 해석 연구
  • 활공 유도포탄 공력 설계 연구
  • 인공지능 표적 자동 추적 시스템 연구개발
  • 군사용 곤충형 지상이동 로봇
  • 소형 궤도형 지상 이동로봇 연구개발
  • 탄의 내고충격특성 분석을 위한 고속물성 확보와 해석 및 시험기법 연구

키워드 # 탄약 # 미래기술 # 융합기술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본원 E2-2 4107호
  • 대표 메일 kojjej@kaist.ac.kr
  • 대표연락처 042-350-3192

LIG넥스원-KAIST 스마트국방4.0연구센터

센터장
이승섭(기계공학과)
설립년도
2018년

산학연구과제발굴 및 공동연구 수행
방위사업관련 기술정보 교류

세부 연구 분야

LIG넥스원 인재양성 프로그램 설치(EPLN)

국방과학기술 전문 기술 인력 양성

방위사업관련 기술정보 교류

키워드 # 감시정찰기술 # 무인화 기술 # 인공지능 기술 # 기타국방기술

  • 건물명 및 호실 기계공학동(N7-4) 7117호

군집형 무인 CPS 특화연구실

센터장
명현 (전기및전자공학부)
설립년도
2021년

CPS는 Cyber-physical system을 의미하며, 첨단기술들이 집약되어 자율적으로 협동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무인 시스템들을 활용한 군전력의 선진화와 효율성 극대화가 요구되는 시점에 도달함.
따라서, 군집형 무인 CPS 플랫폼, 초저지연 실시간 연결, 대규모 CPS 정밀 측위, CPS 고신뢰성 보장,
인공지능기반 자율 협업 제어 및 군집형 CPS 제어 지상국 관련 기초기술 확보를 목적으로 함.

세부 연구 분야

군집형 무인 CPS 플랫폼 및 초정밀 네트워킹 기술 연구

  •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무인 CPS들 상호간 시간적 동기화를 제공하는 초정밀 네트워킹 기술 및 관련 연구 과제 결과물들을 통합할 수 있는 군집형 무인 CPS 통합 플랫폼 기술 개발
  • 군집형 실 체계에 대응하는 가상체계 100대 이상을 동시 실행 가능한 군집형 무인 CPS 플랫폼 기술 확보

군집형 무인 CPS 인공지능 협업 제어 기술 연구

  • 군집형 무인 CPS 체계 운용에 있어 핵심 기술이 되는 인공지능 기반 협업 제어 기술의 개발
  • 소형화된 무인 단말에 탑재된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적합한 경량화된 심층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제시하고, 높은 복잡도를 가지는 동역학 모델에 부합하는 자세 제어와 협업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

군집형 무인 CPS 이동형 지상국 기술 연구

  • 군집형 UGV/UAV로 촬영된 영상정보 기반 3D 가상환경 구축 및 3D 객체 재구성 기술을 개발
  • 군집형 UGV/UAV를 직관적이고 효율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이동형 지상국용 멀티모달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

군집형 무인 CPS 적응형 고정밀 위치 측위 기술 연구

  • 군집형 무인 CPS를 구성하는 무인 CPS(UGV 혹은 UAV)들의 효과적인 협업 임무 수행을 위한 네비게이션 및 대형 형성을 지원하는 적응형, 고정밀 위치 측위(localization) 기술 개발

군집형 무인 CPS 물리적 고장 제어 기술 연구

  • 군집형 무인 시스템 내 일부 개체의 고장에 대응한 실시간 자가진단 및 수명예측, 고장방지 및 자동복구 제어기술을 개발
  • 군집형 무인 CPS UGV/UAV 및 센서 구성 (순서대로 ClearPath Jackal 기반 군집형 무인 CPS UGV, Rover Pro 기반 군집형 무인 CPS UGV, F450 기반 군집형 무인 CPS UAV)

  • 군집 CPS를 위한 100대 무인기의 통신 토폴로지 (위)와 시뮬레이션 무인기 예시

  • 군집형 무인 CPS 강화학습 기반 임무 할당 및 경로 계획 동작 화면

  • 군집형 무인 CPS를 위한 GCS

  • 이미지 의미론적 분할 및 3D 포인트 클라우드 재건 예시

  • 군집 CPS 실시간 로봇 위치 추정 및 포메이션 제어 예시

  • 센서 freezing 고장 발생 탐지 및 고장 복구 동작 예시

키워드 # 초정밀 네트워크 기술 # 인공지능 협업 제어 기술 # 이동형 지상국 기술 # 적응형 고정밀 위치 측위 기술 # 물리적 고장 제어 기술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본원 E3-2 3245호
  • 대표 메일 hmyung@kaist.ac.kr
  • 대표연락처 042-350-7651

과학치안 연구센터

센터장
김용대(전기및전자공학부)
설립년도
2021년

· 최근 ICT 기술을 이용한 사이버 범죄 기술의 발전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국내에서 사이버 범죄를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범죄 피해 최소화 및 사회 경제의 간접적 피해 절감을 위해 관련 산학연 기관들과의 협력 연구를 도모하고, 탐지, 예방, 수사 지원 기술을 개발하여 사이버 범죄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다계층적 방어 시스템 구축하고자 함.
· 보이스피싱, 파밍, 스미싱, 랜섬웨어 몸캠피싱 등 다양해지고 있는 사이버 범죄의 예방 및 대응기술 및 이동통신 시스템보안, 네트워크, 자율주행차, 드론등 신기술 시스템 보안 연구 수행
· 다양한 보안연구 및 보안연구개발 인력 양성

세부 연구 분야

네트워크 기반 보이스피싱 탐지 및 추적기술 개발

  • 이동통신 디바이스 동작 특징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디바이스 탐지 기술 개발
  • 이동통신 신호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한 보이스피싱 디바이스 위치 추적 기술 개발

특화망 기업망 통합보안을 위한 5G 특화망 보안기술 개발

  • 5G 특화망 단말 대상 보안 점검 기술 개발
  • 5G 특화망 네트워크(기지국, 코어망) 대상 보안 점검 기술 개발

이동통신 및 Airgap 환경에서 스니핑 방지 기술 개발

  • 이동통신 단말 메모리 버그 진단 기술 개발
  • 이동통신 코어망의 사용자 정보 관리 측면에서의 취약점 진단 기술 개발

자율주행차의 비정상 작동 감지를 위한 오동작 탐지 프레임워크 개발

  • 자율주행차의 탐지 및 인식, 경로 계획, 제어 기능에 대한 자동화된 오동작 탐지 프레임워크 설계 및 구현
  • 자율주행차 탐지 및 인식, 경로 계획, 제어 기능 오동작에 대한 자동 결함 위치 식별 및 자동 프로그램 수정 기법 개발

가입자 정보 기반 공격에 대한 SKT 네트워크 보안 점검 및 위협평가

  • 가입자 정보를 활용한 공격 유형 및 시나리오 분석
  • 가입자 정보를 활용한 공격에 대한 위협도 평가 및 방어 기법 연구

무인이동체 보안을 위한 항재밍 및 무허가 무인이동체 탐지대응기술 개발

  • 불법 무인이동체를 원하는 구역으로 견인하기 위한 GPS Spoofing 기술 개발
  • 스푸핑 신호로 인한 자체 간섭 회피를 위한 대응 기술 개발

키워드 # 시스템 보안 # 이동통신 네트워크 # 취약점 진단 # CPS 보안 # 자율주행 보안

  • 건물명 및 호실 KAIST 본원 N26(CHIPS), 201호
  • 홈페이지 syssec.kr
  • 대표 메일 yongdaek@kaist.ac.kr
  • 대표연락처 042-350-7430